Spring Data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Data] Jpa 어노테이션 이번에는 지난글에서 작성했던 Player클래스에서 사용된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우선 지난번의 Player.java파일의 내용을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package com.spring.data.jpa.study.player.domain; import javax.persistence.Colum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vax.persistence.GenerationType; import javax.persistence.Id; @Entity @Table(name = "TB_PLAYER") public class Player { @Id @GeneratedValue(str.. 더보기 [Spring Data] Entity Entity.. 엔티티란 한마디로 경량의 영속성 도메인 오브젝트입니다. 여기서 또 영속성이란 메모리영역이 아닌 물리 데이터 저장공간(database)에 저장되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음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엔티니는 하나의 테이블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할것 같습니다. 1. Entity의 제약조건엔티티 도메인 클래스를 작성할 때는 몇가지 제약조건이 존재합니다. 1-1. 반드시 클래스에 @Entity 어노테이션이 정의되거나, XML에 작성을 해야합니다. @Entity public class Player { 위의 코드처럼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작성해줍니다. 스터디에서 XML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XML에 대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1-2. 반드시 no-arg(파라미터가 없.. 더보기 [Spring Data] 프로젝트 생성 Spring Data의 목적은 다양한 데이터 접근 계층을 구현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사용적인 코드의 양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제부터 Spring Data Jpa를 공부하면서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DE의 선택Spring을 사용하므로 Spring에서 제공하는 Eclipse기반의 Srping Tool Suite(STS)를 사용하겠습니다. https://spring.io/tools 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 프로젝트 생성다운로드 한 STS를 실행시키고, 왼쪽의 Package Explorer의 공백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메뉴에서 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데이터베이스는 H2를.. 더보기 이전 1 다음